Home | Register | Login | Inquiries | Alerts | Sitemap |  


Advanced Search
JKM > Volume 44(2); 2023 > Article
gioen and Eunjeong: A Case Report of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Patient Treated with Go-bang

Abstract

Objectives

This is a case report on the treatment of one patient with acute angle-closure glaucoma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ethode

We assessed the progression of acute angle-closure glaucoma by analyz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OCT) results.

Results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did not progress to OCT after treatment.

Conculsion

We obtained results from OCT examinations indicating that the progression of acute angle-closure glaucoma had ceased after Korean herbal medicine treatment.

Fig. 1
2011년 검사지분석: 우안의 평균 C/D (Cup/Disc ratio)과 수직 C/D 비는 각각 0.57, 0.59인데 반해 좌안의 평균 C/D비는 0.8, 수직 C/D비율은 0.76이었다. 좌안의 망막신경섬유층검사에서 Red-free 필터를 적용했을 때 명확하게 결손 부위가 확대되어 있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신경 망막 테 두께 그래프에서 우안은 모든 영역에서 녹색 범위 내에 있어 정상이나 좌안은 노랑이나 빨간 영역으로 낮아져 있는 곳이 생겼고 망막섬유층이 다른 곳보다 두꺼워야 되는 영역에서도 우안과 비교했을 때 좌안의 높이가 낮다. 좌안에서 비측 분면의 두께는 정상이나 이측 분면의 두께가 낮고 특히 상측과 하측 분면의 두께가 뚜렷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jkm-44-2-170f1.gif
Fig. 2
2014년 검사지분석: 좌안의 테 영역은 2011년도에 0.87mm2에서 0.74mm2으로 감소하였다. 평균C/D비와 수직C/D는 각각 0.82와 0.78로 2011년도에 비해 증가하였다. 신경 망막 테 두께 그래프에서 이측 분면의 두께는 다소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상측과 하측 분면의 두께는 낮은 상태였다.
jkm-44-2-170f2.gif
Fig. 3
2017년 검사지분석: 좌안의 C/D비는 0.90으로 2014년도에 비해 증가하였다. 신경 망막 테 두께 그래프에서 이전까지 정상 범위였던 비측에도 두께가 현저히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2014년도 측정한 기계와 2017년에 측정한 기계가 서로 달라서 기준치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서 오차가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jkm-44-2-170f3.gif
Fig. 4
2018년 검사지분석: 좌안의 C/D비는 0.91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다. 신경 망막 테 두께 그래프에서 사분면 모두 망막섬유층의 두께가 뚜렷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측 영역에서는 두께가 다소 회복된 부분도 관찰할 수 있다.
jkm-44-2-170f4.gif
Fig. 5
2019년 검사지분석: 좌안의 C/D비는 0.92로 전년도에 비해 증가했다. 하지만 신경 망막 테 두께 그래프에서 상하측 분면의 두께는 여전히 낮으나 비측과 이측 분면의 두께는 다소 회복한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jkm-44-2-170f5.gif
Fig. 6
2020년 검사지분석:좌안의 C/D비는 0.94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이측 분면과 상하측 분면의 망막섬유층 두께는 여전히 낮은 상태를 보였으나 2019년도에 비해 악화된 정도는 크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오히려 하부 망막섬유층 두께는 2019년도에 59μm에서 63μm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jkm-44-2-170f6.gif
Table 1
한약치료과정
치료기간 한약처방 처방목적과 결과 복용법 참조
2010.1.6
발병일
자원4알
조위승기탕 1봉
식체를 치료하기 위해 선방. 안압은15mmHg로 하강 동시복용 2시간 복통설사 후 두통과 안통 사라짐
2010.1.9.퇴원일→2013
12월
자원4알 안압 떨어지는 것을 확인후, 결독치료를 위해 복용
정상 안압 범위 유지됨
매일1회 퇴근후 결독의 치료는 선방한
처방으로 시작된 설사가
끝나야 치료가 끝난다는
개념 때문에 긴 시간
복용함.
조위승기탕 식체는 해소 되었으나, 결체수독 치료가 필요함
정상안압유지
1일1–2회
2014년–2020년
2월
자원4알 재발되는 결독 예방치료 1달1회 녹내장에 대한 치료가
아니라 증상을 따라가는대증치료를 했다.
발병일 안과의 처치로
안압이 떨어지지 않는
상태를 반나절 정도
지속되는 경험을 하고난
다음 한약이 보여준
즉각적인 안압강하 효과가
알려준 치료법이었다.
후박제:
소승기탕
후박삼물탕
후박칠물탕
복부창만: 결독과 함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복부창만이었음.
정상안압 유지됨
1일 1–3회복용.
1일 3번 다 다른 처방을
복용하는 시기도 있었다.
처방을 합방해서
복용하지는 않았다.
단독처방만 복용하는
시기도 있었다.
대함흉탕 1번
사심탕1–2회 같은
방법으로도 복용.
황련제:
삼황사심탕사심탕
후박제 중 소승기를 복용하는
과정에서 복통이 발생, 복통을
치료하기 위해서 황련제 선방.
작약군:
계지가작약탕, 지실작약탕, 건중탕류
눈동자의 구련, 복부의 구련과 같은
근육의 구련과 리급을 치료하기
위해 작약을 선택하고 당시의
증상을 고려해서 선방했다.
함흉제:
대함흉탕
대함흉환
결흉을 치료하기 위해서선방함.
2020년
2월 이후
자원4알 결독 재발 방지가 목적 3–4개월에 1회
Table 2
주요처방과 약물의 약성
처방명 구성약제 (단위g) 주요약성
자원 행인, 파두, 대자석, 적석지 (원외탕전에서 구매해서 복용) 행인5
主治胸間停水也. 故治喘咳 而旁治短氣 結胸 心痛 形體浮腫
조위승기탕 망초4 지실8 대황4 후박5
主治胸腹脹滿也, 旁治腹痛
지실5
主治 結實之毒也. 旁治 胸滿 胸痺 腹滿 腹痛.
계지5
主治 衝逆也. 旁治 奔豚 頭痛 發熱 惡風 汗出 身痛.
생강
主治呕. 故兼治干呕噫哕逆. (續)
대조5
主治 攣引强急也. 旁治 咳嗽 奔豚 煩躁 身疼 脇痛 腹中痛
후박삼물탕 후박4 지실4 대황8 후박5
主治胸腹脹滿也, 旁治腹痛
지실5
主治 結實之毒也. 旁治 胸滿 胸痺 腹滿 腹痛.
계지5
主治 衝逆也. 旁治 奔豚 頭痛 發熱 惡風 汗出 身痛.
생강
主治呕. 故兼治干呕噫哕逆. (續)
대조5
主治 攣引强急也. 旁治 咳嗽 奔豚 煩躁 身疼 脇痛 腹中痛.
후박삼물탕 후박16 지실10 대황8
후박칠물 후박16 대황6 지실10 계지6 생강10 감초6 대조5
사심탕 대황6 황금6 황련6 황련5
主治 心中煩悸也. 旁治 心下痞 吐下 腹中痛.
황금5
主治 心下痞也. 旁治 胸脇滿 嘔吐 下利也
대함흉탕(대함흉환) 대황16, 망초10, 감수1(+정력, 행인) 감수5
主利水也, 旁治掣痛咳煩、短氣、小便難.心下滿. 主治水病也, 旁治肺癰結胸。
정력5
主治 水病也. 旁治 肺癰結胸
지실작약 지실8 작약8 지실5
主治 結實之毒也. 旁治 胸滿 胸痺 腹滿 腹痛.
작약5
主治結實而拘攣也。旁治腹痛、頭痛身體不仁、疼痛腹滿、咳逆下利腫膿。
소건중 계지8 작약12 생강6 대조6 감초6 교이16–20 교이
胶饴之功, 盖似甘草及蜜, 故能缓渚急. (續)
Table 3
zeiss로 측정된 수치
Average thickness RNFL 평균C/D비 수직C/D비
2011 65 μm 0.80 0.76
2014 57 μm 0.82 0.78
Table 4
Topcon으로 측정된 수치
RNFL두께 C/D비
2017 58 μm 0.90
2018 64 μm 0.91
2019 59 μm 0.92
2020 63 μm 0.94

참고문헌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Seoul: Globooks;2022. 149–53.


2. All About Glaucoma: New Diagnostics and Treatment. Kim Yongyeon, Hwang Younghoon, editors. korea uni. publishing house;2020. 35–79.


3. Choi JA. New classes of glaucoma medical treatment. J Korean Med Assoc. 2019; 62:9. 497–504.


4. Choi YA, Joo BC.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Messured by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hrapy in Healthy Koreans. J Korean Ophthalamol Soc. 2018; 59:6. 537–42.


5. Yakjing Yoshimasu todo original. Kim,Jong-oh Mulgogisup. 2021; 35–386.


6. Hong SK, Sung JK, Kun JY. Clinical Study on Primary Acute Angle Closure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1995; 36:3. 139–44.


7. Choi JA. New classes of glaucoma medical treatment. J Korean Med Assoc. 2019; 62:9. 497–504.


8. Kalouda P, Keskini C, Anastasopoulos E, Topouzis F. Achievements and limits of current medical therapy of glaucoma. Dev Ophthalmol. Basel: Karger;2017. 1–14.
crossref

9. Tanna AP, Johnson M. Rho kinase inhibitors as a novel treatment for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Ophthalmology. 2018; 125:11. 1741–56.
crossref

10. Medeiros FA, Martin KR, Peace J, Scassellati Sforzolini B, Vittitow JL, Weinreb RN. Comparison of latanoprostene bunod 0.024% and timolol maleate 0.5% in open-angle glaucoma or ocular hypertension: the LUNAR study. Am J Opthalmol. 2016; 168:250–9.
crossref

11. Aung T, Ang LP, Chan SP, Chew PT. Acute primary angle-closure: long-term intraocular pressure outcome in Asian eyes. Am J Ophthalmol. 2001; 131:1. 7–12.
crossref

12. Khokhar S, Sindhu N, Pangtey MS. Phacoemulsification in filtered chronic angle closure glaucoma eyes. Clin Experiment Ophthalmol. 2002; 30:4. 256–60.


13. Lee CH, You IC, Kim YR. Phacoemulsification versus laser peripheral iridotomy in early treatment of acute primary angle-closure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2016; 57:2. 290–95.
crossref

14. Lai JS, Tham CC, Chan JC. The clinical outcomes of cataract exꠓtraction by phacoemulsification in eyes with primary angle-closure glaucoma (PACG) and co-existing cataract: a prospective case series. J Glaucoma. 2006; 15:1. 47–52.
crossref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3F, #26-27 Gayang-dong, Gangseo-gu Seoul, 157-200 Seoul, Korea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Tel : +82-2-2658-3627   Fax : +82-2-2658-3631   E-mail : skom1953.journal@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