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issue
|
|
|
|
肺臟生理의 運氣的 인식과 그 生理系統의 임상적 의의에 관한 硏究
신흥묵, 김길훤
|
|
|
|
|
|
|
|
豨嶺이 家兎의 血管內皮細胞性 弛緩因子에 미치는 影響
김호현, 김길훤
|
|
|
|
|
|
|
|
한방 요법에 의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 치료 전후의 CT소견 비교
김형균, 이종덕
|
|
|
|
|
|
|
|
수종 한약재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송봉근
|
|
|
|
|
|
|
|
子宮內膜腫 患者 2例에 대한 臨床的 考察
김동일, 이태균
|
|
|
|
|
|
|
|
중풍변증에 관련된 임상지식에 대한 요인분석
권령규, 박창국, 강효신
|
|
|
|
|
|
|
|
大和中飮의 效能에 關한 實驗的 硏究
양수미, 유봉하, 박동원, 유기원
|
|
|
|
|
|
|
|
魚腥草藥鍼이 放射線 被曝에 의한 免疫機能 低下에 미치는 影響
정승기
|
|
|
|
|
|
|
|
경혈점에서 측정되는 생리신호와 氣
장경선, 나창수, 윤여충, 최정화, 소철호
|
|
|
|
|
|
|
|
小兒 Guillain-Barre 症候群 治驗例 報告
이재원, 구은정
|
|
|
|
|
|
|
|
자율신경계를 통한 한약약성의 해석
김호철, 박찬웅
|
|
|
|
|
|
|
|
黃芪建中湯 및 加味黃芪建中湯이 흰쥐의 運動 疲勞恢復에 미치는 影響
박동일, 조인주
|
|
|
|
|
|
|
|
沈香의 항알레르기 效果에 대한 硏究
김영학, 이인정, 송봉근, 김형균
|
|
|
|
|
|
|
|
최근 일부 中國人의 中醫師, 中醫學 관련 認識, 態度 및 醫療行爲에 관한 연구
이선동, 김명동
|
|
|
|
|
|
|
|
體鍼중 손에 있는 經穴과 手指鍼 氣穴의 比較
김길회
|
|
|
|
|
|
|
|
巴豆 抽出液의 白鼠 腎臟機能 및 血奬 Hormone에 미치는 影響
김유겸, 유윤조, 류도곤, 염기복, 이호섭
|
|
|
|
|
|
|
|
腦卒中患者 290例에 對한 臨床 考察(Ⅲ)
강관호, 전찬용, 박종형
|
|
|
|
|
|
|
|
歸脾湯加味方이 高血壓 및 高脂血症에 미치는 影響
노진환, 문상관,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
|
|
|
|
|
|
|
六味地黃湯 煎湯液 投與가 白鼠의 血漿 Renin 活性度, 血漿 Aldosterone 및 Atrial Natriuretic Peptide 濃度에 미치는 影響
정은경, 유도곤, 이호섭
|
|
|
|
|
|
|
|
血府逐瘀湯이 子宮內膜症 白鼠에 미치는 影響
오규석, 홍영욱, 이태균
|
|
|
|
|
|
|
|
金匱腎氣湯 및 挑紅四湯이 Puromycin Aminonucleoside로 誘發된 白鼠의 腎症에 미치는 影響
육현석, 안세영, 두호경
|
|
|
|
|
|
|
|
급경 뇌경색 환자의 Brain-CT 소견과 Barthel ADL을 이용한 예후에 관한 고찰
이원철
|
|
|
|
|
|
|
|
中國內에서 多用되고 韓國에서 少用되는 藥材에 關한 考察
김동우
|
|
|
|
|
|
|
|
炙甘草湯이 재관류장치하에서 희쥐의 摘出心臟에 미치는 影響
문형권, 문상관,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
|
|
|
|
|
|
|
靑娥丸에 의한 活性 酸素類의 消去 作用과 抗酸化 酵素系의 活性 增加 效果에 對한 硏究
정지천
|
|
|
|
|
|
|
|
Brief Introduc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TCM) and Possible Measures to Protect the Endangered Species of TCM
Kim Sung-Hoon, Ph, D, ** Kim In-Rak, Ph, D, ** *Department of, Taejon University
|
|
|
|
|
|
|
|
|
|
 |
 |
 |
|
|
 |
|
|
|
Register for e-submission |
Register here to access the e-submission system of J Korean Med for authors and reviewers.
|
Manuscript Submission |
To submit a manuscript, please visit the J Korean Med e-submission management system at http://submit.jkom.org, read the Instructions for Authors, and log into the J Korean Med e-submission system. For assistance with manuscript submission, please contact: skom1953.journal@gmail.com.
|
Free archive |
Anyone may access any past or current articles without logging in.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