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ious issue
|
|
|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과 온성어혈방(溫性瘀血方)의 수침(水針) 및 경구투여가 진통, 소염, 해열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광호, 김성수
|
|
|
|
|
|
|
|
폐적(肺積) 폐옹(肺癰) 폐저(肺疽) 폐암(肺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원인· 증상 중심으로-
한재수, 권혁성, 정승기, 이형구
|
|
|
|
|
|
|
|
남자고교생 체간(體幹)전면의 적외선 체열영상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김정수, 최승훈, 안규석
|
|
|
|
|
|
|
|
레이저 치료와 한방요법
신용철, 성우용, 송경섭
|
|
|
|
|
|
|
|
혈허생풍(血虛生風)에 관한 문헌적 고찰
고흥, 이장훈, 우홍정, 김병운
|
|
|
|
|
|
|
|
사상체질분류검사(QSCC)와 다면적인성검사(MMPI)의 비교분석을 통한 사상체질감별과 사상체질별 인격특성에 관한 고찰
김종원, 김종우, 고병희, 송일병
|
|
|
|
|
|
|
|
색각장애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황병태, 나창수, 황우준
|
|
|
|
|
|
|
|
보장건비탕(補腸健脾湯)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전정회, 류봉하, 박동원, 류기원
|
|
|
|
|
|
|
|
고혈압병의 장부변증을 통한 분형(分型)과 분기(分期)의 상호결합에 대한 고찰
오연환, 정지천, 이원철
|
|
|
|
|
|
|
|
감두탕(甘豆湯)으로 법제(法製)한 초오(草烏)가 흰 쥐의 간신(肝腎)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정호, 강석봉
|
|
|
|
|
|
|
|
요통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혜남, 신용철, 성우용, 송경섭
|
|
|
|
|
|
|
|
임신해수(姙娠咳嗽)의 원인증상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윤석운, 정승기, 이형구
|
|
|
|
|
|
|
|
체중에 따른 체간(體幹) 후면의 적외선 체열영상에 관한 연구
이필래, 최승훈, 안규석, 문준전
|
|
|
|
|
|
|
|
인후병(咽喉病)의 병인(病因) 병기(病機)에 대한 문헌적 고찰
이원주, 노석선
|
|
|
|
|
|
|
|
소양성(瘙痒性) 피부질환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경준, 채병윤
|
|
|
|
|
|
|
|
가미사륙탕(加味四六湯)이 Cyclosporin A로 손상된 간장, 비장 조직에 미치는 영향
정한성, 강윤호
|
|
|
|
|
|
|
|
수구혈(水溝穴) 자극에 의한 3차신경흥분 및 혈압상승이 실험적 뇌경색의 국소뇌혈류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
윤상협, 류재환, 홍남두
|
|
|
|
|
|
|
|
의식장애를 동반한 졸중풍(卒中風) 급성기 환자에서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 투여에 관한 고찰
김동웅, 오승환, 안일회, 이언정, 김형균
|
|
|
|
|
|
|
|
"만성전립선염"에 관한 동서의학적 고찰
육현석, 안세영, 조동현, 두호경
|
|
|
|
|
|
|
|
귀출파징탕(歸朮破 湯)의 Endotoxin으로 유발된 백서의 실험적 혈전증에 미치는 영향
조흥건, 김한성, 김성훈
|
|
|
|
|
|
|
|
구안와사(口眼 斜)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혜남, 신용철, 송경섭, 김광일
|
|
|
|
|
|
|
|
폐한(肺寒)으로인한 비연증(鼻淵證)의 증상 치법 치방
이충섭, 이주희, 정승기, 이형구
|
|
|
|
|
|
|
|
방독탕(防毒湯)의 항종양효과와 면역반응에 관한 실험적연구
이봉우, 송효정, 김성훈
|
|
|
|
|
|
|
|
인삼수침액의 제제방법에 따른 안전도 검사 및 규격화 연구
강성길, 이혜정
|
|
|
|
|
|
|
|
혈증(血證) 어혈(瘀血)에 대한 삼칠근수침(三七根水鍼)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허정욱, 김갑성
|
|
|
|
|
|
|
|
맥진(脈診)과 오실형(五實型)
김경호
|
|
|
|
|
|
|
|
비연(鼻淵)의 외용약에 관한 연구
채병윤
|
|
|
|
|
|
|
|
언어장애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이상룡, 김경식
|
|
|
|
|
|
|
|
후비(喉痺)에 대한 문헌적 고찰
손기정, 노석선
|
|
|
|
|
|
|
|
신경증과 한방요법
신용철, 성우용, 송경섭
|
|
|
|
|
|
|
|
간음부족(肝陰不足)에 관한 문헌적 고찰
홍상훈, 김동우, 우홍정, 김병운
|
|
|
|
|
|
|
|
부인과 질환의 한의학적 연구
배은경, 김혜남, 성우용, 송경섭, 오원용
|
|
|
|
|
|
|
|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및 소풍활혈탕가봉독(疎風活血湯加蜂毒)이 어혈병태(瘀血病態)에 미치는 영향
양문혁, 최승훈, 안규석
|
|
|
|
|
|
|
|
만성위염에 대한 최근의 동서의결합 진치(診治)개황
고수미, 문구, 문석재
|
|
|
|
|
|
|
|
상용 한약복합 처방의 장기간 연용 투여가 신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김동웅, 이언정, 김형균, 안일회, 김승모
|
|
|
|
|
|
|
|
향유산(香 散)의 효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진성, 류봉하, 박동원, 류기원
|
|
|
|
|
|
|
|
호침(毫鍼)과 곤마자( 麻子) 약침(藥鍼)이 하태(下胎) 및 임신 hormone에 미치는 영향
진민순, 이혜정
|
|
|
|
|
|
|
|
우황가웅담약침액(牛黃加熊膽藥針液)이 두통에 미치는 임상적 연구
노태석, 노석선
|
|
|
|
|
|
|
|
Cyclosporin A 로 유발된 흰쥐의 간 및 신손상에 미치는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효능에 관한 연구
박재현, 신흥묵, 강윤호, 김길훤
|
|
|
|
|
|
|
|
불임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형준, 이경섭, 송병기
|
|
|
|
|
|
|
|
전침(電鍼)자극이 Isoniazid에 의한 골격근손상 흰쥐의 근섬유조성에 미치는 영향
손낙원
|
|
|
|
|
|
|
|
신허(腎虛)로 인하여 발생하는 천식(喘息)에 대한 문헌적 고찰
정도영, 이주희, 정승기, 이형구
|
|
|
|
|
|
|
|
희렴지골피탕( 地骨皮湯) 약침제제(藥鍼製劑)가 고혈압 및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이화준, 고성규,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
|
|
|
|
|
|
|
|
|
 |
 |
 |
|
|
 |
|
|
|
Register for e-submission |
Register here to access the e-submission system of J Korean Med for authors and reviewers.
|
Manuscript Submission |
To submit a manuscript, please visit the J Korean Med e-submission management system at http://submit.jkom.org, read the Instructions for Authors, and log into the J Korean Med e-submission system. For assistance with manuscript submission, please contact: skom1953.journal@gmail.com.
|
Free archive |
Anyone may access any past or current articles without logging in.
|
|
|